HONG[本]'s World

'HONG[本]'은 일본어로 '책'이라는 뜻입니다.

Books/Book Review

조유전・이기환 『고고학자 조유전과 이기환의 한국사 기행』

| Mashimaro | 2023. 7. 14. 11:47

 

 

 

 

 

사실 이 책은 내가 일본에 오기 전에 이미 한국에서 한번 들춰봤던 책이다. 당시 종이책으로 들춰봤었고, 그 이유는 물론 저자들이 이미 너무나도 잘 아는 분들이기도 하지만, 책 속 에피소드들 중에 내 이름이 등장하는 챕터가 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리고 잊고있다가 요 근래에 전자책으로도 출간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구입해서 읽어보게 되었다. 사실 내가 등장한다는 추억여행격 동기도 있긴했지만, 작년부터 새롭게 가르치고있는 수업준비를 위해서 공부할 겸 읽은 것이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참 재미있게 잘 읽었다. 그도 그럴것이 나에게 있어서는 등장인물의 절반 이상이 이미 아는 사람들로 도배되어 있고, 저자들과도 너무 잘 알고있어서 글 속에서 저자들의 말투가 그대로 상상이 되면서 읽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감상적인 부분 이외에도 내용적으로 참고할 만한 에피소드들이 참 많아서, 실질적인 수업이나 강연 등에서 배경 에피소드를 섞어서 설명하기에 너무 좋은 내용들이 많았다. 그리고 물론 나에게도 공부가 되는 내용들도 참 많았다. 

사실 세부전공이 정해지고나면 이미 좁고 깊게 연구를 진행하기 마련인데, 강의를 할 때에는 넓은 범위의 정보가 필요하고, 또 그것을 재미있고 질리지 않게 전달하는 스킬이 필요해지는데, 그러한 면에서 나에게는 참 많은 부분을 충족시켜 준 책이 아닐까 싶다. 특히 선사고고학을 전공한 나로서는 아무래도 역사고고학 혹은 고대사쪽에 좀 약한 편인데, 특히나 고대사파트에서 역사학과 고고학이 서로 보완되는 사례들이 많아서 나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또 하나, 이기환기자님의 정리된 글을 보면서 역시 기자들은 글을 참 잘 쓴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 되었다. 

 

 

 

“아니, 뭐 이렇게 발굴속도가 느리냐. 속 터지게 뭘 호미로 살살 긁고 있느냐.” 회사 관계자는 전화를 건 기자에게 “하루빨리 공장을 지어 돈을 벌어야 하는데 돌 몇 개(석곽묘)가 무슨 가치가 있느냐”는 말까지 했다. 고고학자들을 호미질 혹은 붓질로 시간이나 질질 끌며 밥이나 축내는 사람으로 폄훼한 것이며, 문화유산을 개발의 걸림돌이자 뽑아야 할 전봇대쯤으로 여긴 것이다.

 

세상에는 문화유산을 ‘뽑아버려야 할 전봇대’로, 역사를 ‘시대착오적인 학문’으로 폄훼하는 이들도 많다. 하지만 세상에는 또 지독한 혹한과 혹서에 아랑곳하지 않고 전국의 발굴현장에서 ‘과거의 흔적’을 찾아내는 고고학도들과, 현장에서 나온 새로운 자료를 놓고 밤을 하얗게 지새우며 공부하여, 사마천이 그랬듯이 미래에 대비하려는 역사학도들도 많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이름 없이 빛도 없이 무분별한 개발과 무관심 속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질 뻔한 문화유산을 찾아낸 장삼이사의 이야기도 많다.

 

“발굴은 곧 파괴입니다. 있는 그대로 놔둬야 하는 게 원칙이라는 얘기죠. 불가피하게 발굴할 경우에는 10퍼센트 이상 발굴하면 안 된다는 게 원칙이에요. 훗날 후학들이 발굴할 경우 지금의 해석이 아닌 새로운 해석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죠.”(조유전 선생)

 

“명백한 금석문이 나왔다지만 선화공주 이야기는 당분간 수수께끼로 남아 있을 겁니다. 수수께끼를 풀어줄 미륵사 중원과 동원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다만 언제 어느 곳에서 또 다른 단서가 나올지 누가 압니까. 학술적인 논쟁을 벌이는 것은 환영이지만 지나친 단정은 금물입니다.”

 

“이렇게 고고학 발굴은 그동안 확실하다고 여겨졌던 기록을 수정하고 보충해 줍니다.”(조유전 선생)

 

조 선생의 말마따나 지구 온난화에 대비하기 위해 1만 년 전의 제주 고산리를 연구해 보면 어떨까? 다만 1만 년 전의 지구 온난화가 어쩔 수 없는 자연의 흐름이었다면, 요즘의 지구 온난화는 사람이 뿌린 불행의 씨앗이라는 점이 다르다면 다를까.

 
 

 

'공감'과 '댓글'이 큰 힘이 됩니다.